며칠 전부터 이상하게 사타구니 쪽으로 무언가 배속에서 튀어나오는 느낌이 들기 시작했습니다. 배에 조금만 힘을 가하면 튀어나왔다가 손으로 밀면 들어가는 것을 느꼈습니다. 인터넷 검색 결과 탈장의 한 종류인 서혜부 탈장이었습니다. 서혜부 탈장은 탈장 전체의 90%를 차지할 만큼 탈장의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탈장의 종류
탈장은 복강 내에 있어야 할 장이 복벽 근육의 터진 틈을 통해 복강 밖으로 탈출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따라서 탈장은 복강을 둘러싼 부위에서만 발생합니다. 주로 배 앞쪽과 아래쪽 부분으로 생기는 경우가 많고, 옆구리와 등 쪽, 횡격막을 통해서도 생깁니다. 서혜부 탈장이 전체 탈장의 90% 이상을 차지하며, 그다음으로 배꼽으로 나오는 배꼽탈장이고, 복강경 수술이나 개복 수술한 상처로 탈장이 되는 반흔 탈장도 비교적 흔히 발생합니다. 그림에서 보듯이 배꼽 위로 나오는 것이 상복부 탈장, 배꼽으로 나오는 것은 배꼽탈장, 그리고 서혜부(사타구니) 쪽으로 나오는 것이 서혜부 탈장, 그리고 허벅지 쪽으로 생기는 것이 대퇴부 탈장입니다.
서혜부 탈장의 증상
간간히 사타구니가 부풀어 오르는 증상을 호소하며, 대개는 힘을 주는 일을 하거나 운동을 하거나 할 때 튀어나오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복압이 높아지는 동작을 통하여 알 수 있습니다. 복부에 힘을 가할 때 서혜부 쪽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만져보면 알 수 있습니다. 또는 만져지지는 않지만 사타구니 쪽이 불편하다면 재채기를 하거나 변을 보거나 기침을 할 때 힘을 주게 되면 증상이 발생합니다. 남자의 경우 고환까지 덩어리가 내려와서 만져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드물게는 사타구니에 이상한 점이 관찰되지 않으면서 소장 폐색증상만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서혜부 탈장의 원인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번째, 복압이 지나치게 높이 올라가는 경우입니다. 만성적으로 심한 기침을 하거나, 변을 볼 때 너무 힘을 주거할 때, 그리고 무거운 것을 자주 드는 직업을 가지고 있을 때, 복압이 많이 올라가는 운동을 하는 경우, 지나친 복부비만도 복압을 올리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둘째는 근육이 약화되는 경우입니다. 나이가 들면 자연이 근육이 약화되기 때문에 탈장 발생이 증가합니다. 특히 흡연으로 인한 근육이 대사과정에 영향을 주어 근육을 약화시키며, 복압도 상승시킵니다. 또한 흡연으로 재발탈장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제일 중요한 것은 선천적인 요인입니다. 남성의 경우 고환의 동맥과 정맥, 정관 등의 구조물은 다 속에서 근육을 뚫고 나옵니다. 그리고 여성의 경우 이에 대치되는 구조물이 바로 자궁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끈 역할을 하는 원형 인대입니다.
이렇게 근육에 자연스러운 틈새가 원래 있는데, 이 틈이 선천적으로 느슨한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런 사람들은 복압이 상승할 때 서혜부 탈장 즉, 간접 서혜부 탈장이 일어나게 됩니다. 도한 정상적인 근육이 약해지며 여기에 틈이 벌어져 생기는 직접 서혜부 탈장도 가족력이 있습니다. 그래서 가족력이 있는 사람들은 후천적인 요인들을 조심하여 탈장을 예방하시는 게 좋습니다.
탈장치료 수술
탈장수술은 무조건 빨리 하는 것이 정답입니다. 왜냐하면 합병증의 위험 때문입니다. 특히 서혜부 탈장과 대퇴탈장에서 합병증이 많이 발생합니다. 그리고 남성의 경우 고환까지 내려와 오랜 기간 방치되면 고환의 기능에 장애가 생길 수 도 있습니다. 특히 어린아이의 경우 이런 위험이 많아집니다.
그리고 탈장을 지체할수록 재발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탈장이 나오는 벌어진 근육 틈이 점점 더 커져서 약해지기 때문에 재발의 위험은 높아지게 됩니다. 물론 당장 오늘 아니면 내일 수술을 받으시라는 얘기는 아닙니다.
탈장의 예방
탈장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 다만 탈장을 유발할 수 있는 복압의 상승을 일으키는 만성기침, 변비, 무거운 것을 드는일 등등을 미리 교정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생활 > 질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40대 남자 영양제 (0) | 2020.07.08 |
---|---|
족저근막염 원인과 치료 (0) | 2020.06.27 |
손가락 한포진 - 원인과 치료방법 (0) | 2020.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