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E 란 무엇인가?
말 그대로 play to earn의 약자이다. 즉 게임을 플레이하면서 돈을 버는 것이다. 게임 내 아이템을 다른 플랫폼 사이트를 이용하여 사고팔고 했던 예전의 방식과 얼핏 보면 비슷하지만 , 자세히 보면 크게 다르다 할 수 있다.
기존의 유져들은 플랫폼 사이트에 의해 거래를 할 수 있었다. 즉 중앙집권화 되어 있는 방식의 거래로서 사실상 마음만 먹으면 아이템의 가격이라든지 수량 조절을 통해 가격을 쥐락펴락 할 수 있었다. 이는 게임경제를 마음먹은 대로 좌지우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가장 큰 문제는 게임사와 유져들 사이의 불신이다.
하지만 P2E에 NFT와 토큰, 혹은 코인이 결합되어, 이제는 사용자들이 NFT를 만들어 내고, 생산자가 되어게임내 아이템을 만들어 내어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 된 것이다. NFT의 수량도 한정되어 있고, 블록체인화 되어있어, 투명한 거래를 확인할 수 있다. 투명하게 게임을 통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P2E 경제 시스템
도대체 게임에서의 수익은 어디서 나오는 것일까? 쉽게 생각하자. 수요와 공급이 있다. 게임내 어떤 아이템을 수요로 하면 원하는 가격에 공급이 될 것이다. 즉 수요로 하는 아이템은 그만큼의, 돈을 주고 살만한 메리트가 있어야 할 것이다. 즉 구매한 아이템으로 더 큰 수익을 벌어 들일 수 있어야 한다는 얘기다. 혹은 그만큼의 재미를 느껴야 한다는 것이다. 아이템에 돈을 지불하고 사용하는 사람들은 재미 혹은 수익을 위해 그 대가를 원하는 것이다. 즉 게임회사나 프로젝트팀은 사전에 프리세일이나 메타버스 혹은 한정판 NFT를 판매하여, 운영 자금을 투자자들로 펀딩 받고, 개발과 동시에 급여 등등의 지풀을 하게 된다. 근데 여기서 문제가 발생한다.
P2E 경제 시스템 문제점
게임회사는 투자자, 혹은 투자사들로 부터 게임에 사용될 NFT 혹은 코인의 일정 부분 물량을 사전에 판매한다. 이러한 자본으로 게임을 개발하고 코인을 만들어 낸다. 그럼 기존의 게임들은 어떠한가 살펴보자. 대부분의 게임들은 게임이라 부를 수 없을 정도의 조악한 퀄리티와 재미를 가지고 P2E라는 타이틀을 달고 나왔었다. 가장 성공한 게임인 엑시인피니티를 보자.
이게 게임 화면이다. 이런걸 게임이라고 만들고, 재미라고는 1도 없다. 그냥 투기용 목적이다. 그냥 내가 자본을 얼마 넣으면 ROI가 얼마나 되고 그 이후로는 수익이다.라는 생각 밖에 들지 않을 정도의 조악한 그래픽과 게임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게임들의 문제점은
첫번째, 재미가 없다. 게임의 본래 목적은 재미에 있다. 중독성에 있다. 게임은 재밌어야 한다. 그것이 돈을 벌 수 있는 수단으로 사용되어도 재미를 버리면 안 된다. 재미가 없으면 지속성이 떨어지며, 언젠가 게임사의 자금풀과 유져들의 관심 속에서 사라지면 도태되고 망한다. 재미가 있고, 퀄리티가 좋고, 돈을 벌 수 있다면 지속적으로 살아남을 가능성이 크다. 즉 지속적의 재미를 보장해야 한다.
두번째, 명목상 중앙집권화를 분산시켰다고 하지만, 큰손들은 존재한다. 게임 코인을 거래소에 상장하면, 사전에 많은 물량을 사들였던 투자사나 투자가들이 큰손이 되어, 게임의 경제를 좌지우지하게 된다. 작업을 통해 코인을 상승시켜 고점에 팔아치우고, 손을 뗀다. 물론 이들의 목적은 리스크를 감당해야 하는 투자? 투기가 목적이었으므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순간 가차 없이 게임은 버려지게 된다. 이를 비난할 생각은 없다. 다만 이러한 행위 속에 소위 흥미를 가지고 게임을 하던 유져들은 모두 떨어져 나가게 된다. 소액으로 즐기려 했던 유져들은 코인의 가격이 나락으로 가는 순간을 보며, 정나미가 뚝 떨어진다. 유져가 없으면 게음은 망한다. 따라서, 큰 손들(투자자)은 막아야 한다. 즉 사전에 매도 물량 자체를 제한 해야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시장의 충격을 막아야 한다. 정말 순순하게 수요와 공급의 법칙에 의해 경제가 돌아가게끔 만들어야 한다.
세 번째, 게임 플레이를 통해 돈을 벌 수도 있지만, 게임을 하지 않아도 게임 내 아이템을 이용해서 수익을 창출할 수 있어야 한다. 게임 내 수익을 창출하는 행위는 크게, 직접 플레이를 통한 채굴, NFT를 만들어 제작하여 채굴, 투자한 아이템을 통해 렌트 혹은 판매를 통한 채굴 즉 다양한 수익모델이 존재해야 된다. 수익창출의 다양성이 존재해야 지속적으로 경제가 돌아 갈 수 있다.
이러한 모든 문제들을 해결해야 P2E는 살아남을 수 있다.
정말 지속 가능한 P2E 게임은 없는 걸까?
현재 개발중인 게임들 중 가능성이 있는 몇 가지 게임을 본 다면, 가능성이 없진 않다. 그중에 빅타임은 현재 위의 모든 문제점들에서 벗어날 수 있는 가망성이 있으며, 테스트 겸 플레이를 해봤는데, 일단 최적화의 문제가 있으며, 사소한 버그들이 많이 있다. 꽤나 높은 사양을 필요로 한다. 현재 개발 중이라 이해할 수는 있지만, 최적화의 문제가 가장 시급하다. 게임은 현재 알파 스테이지며, 인바이트 온리 상대라서, 루비패스를 받아야 게임이 가능하다. 데카콘 길드의 Tkmoon님의 도움으로 루비패스를 받아 진행할 수 있었다. 빅타임은 무료로 플레이를 할 수 있으며, 또한 플레이를 통해 NFT 아이템을 획득할 수 있다. 물론 획득한 아이템은 마켓을 통하여 판매할 수 있다. 소소하지만 수익을 얻을 수 있었으며, 중독성이 강하다. 물론 코인을 획득하여 수익을 얻으려면 NFT를 구매해야 하지만, 한 달 정도 플레이해서 벌은 수익은 대략, 100달러가 조금 넘는다. (일일 2시간 정도 플레이 기준) 플레이를 하면서, 재미를 느꼈고, 조만간 베타클로즈가 실시될 것이므로, 그때 가서 소액이라도 투자해 볼 생각이 있다.
빅타임 게임 최소 요구사양.
Graphic card: GeForce GTX 1060 or better / Radeon Rx 560 or better.
8gb RAM.
DirectX 11 or above.
CPU: Intel Core i5 4430 / AMD FX 6300.
50gb available hard drive space.
Big Time Launcher is compatible with Windows 10 & 11
빅타임 게임 찍먹해 보실 분들은 루비패스를 받아 신청하시고, 다운로드하시면 됩니다.
아래의 구글폼 작성 후 다운로드!!!
https://forms.gle/ndshTpWAQ7bmhbot8